중국 전기차 -> 샤오미
로보택시 시장에서의 미국 vs. 중국 경쟁구조 심화
스마트카 경쟁력을 앞세운 두번째 레이스의 시작
10년간의 자율주행 기대감, 생존자는 웨이모, GM의 크루즈, 현대차그룹 모셔널, 바이두 정도임
자율주행 방식은 두가지
1) Divide and Conquer : 웨이모, 크루즈, 모셔널
각 단계의 결과를 검증하고 조절
2) End-to-End 신경망 방식 :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직접 연결 (테슬라) - 훈련데이터의 품질의 모델 성능의 핵심
경로결정
1) 차량 내 AI 자율주행 칩
2) 자율주행 AI 모델
3) 자율주행 AI 모델의 고도화하기 위한 품질좋은 주행 데이터
4) 막대한 주행 데이터를 훈련하기 위한 AI 학습 슈퍼컴퓨터가 필요
레가시 업체들 > 밸류에이션 디레이팅
자율주행의 원조 웨이모 Level 5
안드레이 카파시 / 테슬라와 웨이모의 문제를 각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로 정의
6세대 웨이모 : 필요한 센서 수를 줄였음 카메라 29대 > 13대, 라이다 5대 > 4대 , 레이더 6대 > 5대
End-to-End 입력데이터
중국의 영앤리치는 중국차를 산다
중국 전기차 침투율 50% 돌파
위라이드?(WRD US) - 로보택시 ADAS 업체
새력사집단(601127 SH) - 화웨이 HIMA 전략의 주인공
0 화웨이 HIMA 판매량의 80% 기여
0 아이토M시리즈 출시 후 주가 반응(MAEXTRO 첫차 출시에 따라 최근 주가 좋은 흐름)
0 매출 성장률 yoy 600%
자율주행차 밸류체인
현대모비스 현대오토에버 -> 결국에는 다른 레가시업체들의 수요가 확인되어야 함
한국의 라이다 업체?
'주식이슈 > 전기차, 2차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현대차 ‘하늘 나는 택시’ 7월 뜬다…‘이 나라’에서 첫 시험비행 (1) | 2024.06.12 |
---|---|
[전자신문] '현대차그룹도 쓴다' 실리콘 음극재, 기아 EV3 첫 탑재 (1) | 202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