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k.co.kr/news/economy/11037797?sn=123

 

"영일만처럼 리스크 작은 유망구조 흔치않아 … 누구라도 시추나설것" - 매일경제

아브레우 액트지오 고문 인터뷰7개 유망구조 함께 발견돼'자원 밀도'도 높아 매력적산업부"내달 시추위치 결정"

www.mk.co.kr

 

"경북 포항 영일만처럼 리스크가 작은 유망 구조는 세계적으로 드물다. 이런 가능성을 놓고 개발할지 말지 논란이 벌어지는 건 일반적이지 않다."

비토르 아브레우 액트지오 고문(사진)이 10일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포항 석유가스전에 대해 이같이 밝히며 "한국석유공사가 아니면 다른 석유회사가 언젠가는 영일만에서 시추에 나설 것"이라고 단언했다.

아브레우 고문은 "영일만 7개 유망 광구처럼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기 위한 구조물인 기반암, 저류층, 덮개암, 트랩 등 4대 요소가 모두 입증된 지형은 매우 드물다"며 "그뿐만 아니라 유망 구조 7개가 인근에서 함께 발견돼 '자원 밀도' 면에서도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4개 구조가 모두 갖춰져 있어도, 석유·가스가 생성된 시기와 이를 가두는 구조 생성 시기가 맞아떨어지지 않으면 석유·가스가 고여 있을 수 없다"며 "이 같은 '타이밍'까지 더해 5대 요소를 충족했다"고 덧붙였다. 영일만은 석유·가스를 생산하는 근원암이 800만년 전부터 존재해온 것으로 나타나 타이밍에서도 문제가 없다는 분석이다. 근원암은 유기물 함량이 높아 압력과 열로 석유나 천연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퇴적암을 말한다.

아브레우 고문은 탐사 성공률 20%에 대해 "지질학적 의미에서의 성공 가능성이 20%라는 것이며, 상업적 성공 가능성은 별개"라고 말했다. 7개 유망 광구에서 석유·가스가 발견될 가능성이 20%이고 채산성이 있는지는 석유공사가 따로 따져봐야 할 문제라는 것이다.

다만 영일만 석유·가스 매장량이 35억배럴에서 140억배럴로 추정되는 만큼 경제적 가치가 높다고 강조했다. 그는 "리 레이먼드 전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는 '10억배럴의 석유·가스만 있으면 어떻게든 돈을 벌 수 있다'고 말했다"며 "영일만 7개 유망 구조의 경제적 가치도 높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호주 우드사이드가 동해 해저를 15년간 조사하고도 유망 구조를 발견하지 못한 것과 관련해서는 "우드사이드는 역량 있는 석유개발회사로, 그간 많은 조사와 작업을 진행해왔다"면서 "액트지오는 우드사이드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 서서 이번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드사이드가 급하게 철수하면서 조사해 놓고도 분석하지 못한 데이터가 많았고, 여기에 더해 석유공사가 별도로 확보한 자료를 종합해 '순차 층서 해석' 기법을 적용해 7개 유망 구조를 끌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순차 층서 해석 기법은 심해 퇴적물에 쏜 탄성파를 분석해 지질 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을 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달 동해 심해 가스전 시추 위치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오는 12월 첫 번째 탐사 시추를 진행하려면 7월에는 정확한 시추 위치가 나와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위치 선정에는 액트지오도 참석한다. 다만 최종 결정은 석유공사가 내릴 전망이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추 작업은 40일 정도"라며 "시추 1차 결과는 내년 상반기쯤 나올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기존에 3구역으로 나뉘어 있던 동해 일대 광구도 재편한다. 석유와 가스가 대량으로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유망 구조 7곳을 중심으로 광구를 재설계해 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 밖에 개발에 드는 비용 절감과 위험 요인 완화를 위한 해외 투자 유치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홍혜진 기자 / 이진한 기자 / 사진 한주형 기자]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760746

 

산업부 “다음달 시추 위치 결정…12월말 작업 시작”(상보)

정부는 최대 140억배럴의 가스·석유매장 가능성이 있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를 연말부터 본격화한다고 10일 밝혔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1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n.news.naver.com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작업 계획과 관련해 “다음 달 정확한 시추 위치를 결정하고 12월 말 시추공 작업을 할 계획”이라며 “현재 드릴쉽(원유 시추선)은 이미 계약이 체결된 상태”라고 했다.

앞서 한국석유공사는 연말 심해저에 시추 구멍을 뚫기 위한 ‘시추공’ 작업을 위해 공개 입찰을 진행, 지난 4월 시드릴사와 계약했다. 원유 시추선으로는 시드릴사의 ‘웨스트 카펠라’가 선정됐다. 계약금액은 4770만달러(한화 약 656억원)이다. 1개의 시추공 작업에 약 1000억원의 비용이 드는데 여기에 포함된다.

최 차관은 시추공 작업 소요시간과 관련해 “처음 3개월 정도 시추 작업을 한다고 했는데 이는 계약시점부터 3개월 내내 시추를 하는 의미는 아니다”며 “드릴쉽이 인도네시아에서 오는데 보름이 걸리고 시추는 40일, 이후 배를 다시 보내는 데 보름을 합해 3개월이 걸린다”고 했다. 이어 “가스·석유 부존여부와 그 양은 시추 이후 3개월 가량 추가적인 자료 검토를 거친 이후 발표, 내년 상반기에 1차 시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우선 시추 위치는 액트지오사(社)와 논의 후 석유공사가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최 차관은 이와 관련해선 “이달 말 에너지위원회 분과위원회 위원들과 해저광물자원법에 따른 해저광물자원개발심의위원회 위원이 모여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전략회의’(가칭)를 산업부장관 주재로 열고 여기서 시추와 관련한 전반적인 준비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의 해외 투자 유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고 했다.

시추공 작업과 동시에 제도 개선 작업도 병행한다.

최 차관은 “현행 법으로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이 있는데 이는 탐사와 소규모 생산에 중점을 둔 제도이기 때문에 법 개정이 필요하다”며 “예를들어 해외에서는 투자 유치시 ‘사이닝 보너스’(Signing Bonus)제도가 있는데, 광구 계약을 할 때 ‘사인’하는 순간 추가 보너스를 입찰하는 국가에 제시하도록 돼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없다. 또한 생산 보너스 제도라고 해서 초기 생산보다 많이 생산된 양에 대한 보너스를 해당 국가 및 기업에 주게 돼 있는데 이에 대한 부분도 현행법에는 없어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신우(yeswhy@edaily.co.kr)

+ Recent posts